들러보기

[4층 법당 뒤] 고행을 멈추고 중도의 길을 가시다

삼운사 0 3,217 2016.03.13 15:01

8fd8d030c99c0a2c5cd398b044836f1c_1457848693_72.jpg 

 

부처님은 그 누구도 할 수 없는 고행을 하였다. 그래서 부처님은 과거의 어떤 수행자도, 미래의 어떤 수행자도 자신과 같은 고행은 할 수 없을 것이라 하실 만큼 고행에 몰입하였다. 당시 인도 사람들은 고행을 함으로써 욕망을 억제하고 정신생활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있다고 믿었다. 그리고 고행을 한 사람은 신비하고도 초인간적인 힘을 가지게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부처님은 6년에 걸친 극심한 고행을 통해서도 깨달을 수 없었고, 육체를 학대하는 것이 진정한 깨달음의 길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고행을 포기하기로 하였다. 이때 싯달타 태자는 이렇게 생각하였다.

'세상에서 수행자가 피해야 할 두 가지 극단이 있다. 하나는 관능이 이끄는 대로 애욕에 탐닉하여 욕망과 쾌락에 빠지는 것이다. 이는 어리석은 범부들이 찬탄하는 것이며, 수행자의 숭고한 목적에 무익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자신의 육체를 스스로 괴롭히는 것에 열중하여 고행에 빠지는 것이다. 이는 수단과 목적이 전도된 것으로 수행자의 숭고한 목적을 위해서는 무모한 것이다. 이 두 가지는 스스로에게도 이익이 되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도 이익을 주지못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버려야 한다. 나는 이 두 가지 극단을 버리고 중도(中道)의 길을 가겠다.'

경전에 '중(中)이란 곧 바름이다(中者正也)'라고 하였듯이 중도란 곧 정도(正道)의 다른 말이다. 쾌락과 고행의 가운데가 아니라 진실로 바른 길을 뜻한다. 따라서 고행의 포기는 출가 수행자들이 가지고 있던 사상이나 관습까지도 버린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동시에 다른 수행자들로부터 비난을 감수해야 할 결정이었다. 그리하여 부처님과 함께 수행하던 다섯 사람은 부처님을 '타락하였다'고 비난하며 떠났다. 그러나 부처님은 주저없이 고행을 포기했다. 이것은 깨달음에 도움이 되지않는 것은 그 어떤 것이라도 매달릴 필요가 없다는 것을 말한다.

수행자 싯달타는 고행을 포기한 뒤 수자타 여인이 올리는 우유죽 공양을 받아 기운을 회복하고 목동 스바스티카가 바친 부드럽고 향기로운 풀을 보리수 아래 깔고 그 위에 앉아서 굳은 다짐을 하였다고 한다. '내 여기서 위 없는 깨달음을 얻지 못한다면 차라리 이 몸이 부서지는 한이 있더라도 마침내 이 자리에서 일어서지 않으리라.'

[이 게시물은 삼운사님에 의해 2018-02-03 17:43:10 삼운사 벽화에서 이동 됨]

Comments